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7

✅ 모터 축 정렬 오차 측정 완전 가이드레이저·다이얼 인디케이터부터 IoT까지 실무자가 꼭 알아야 할 Alignment 절차의 모든 것 1. 서론: 정렬 오차는 장비 고장의 씨앗이다모터와 펌프, 감속기, 팬 등 회전 기기의 축이 정렬되지 않으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진동이 증가하고 베어링 수명이 단축됩니다.동력 손실로 전력 소비가 늘어나며, 결국 고장이 발생합니다.쿠플링 고장, 씰 누유, 샤프트 마모, 그리고 설비 라인의 정지까지 이어지죠.실제 산업 현장에서 모터 축 정렬 불량은 전체 회전체 고장의 약 50% 이상을 차지한다는 통계도 있습니다.즉, 모터 정렬은 ‘사후 정비’가 아니라 ‘사전 예방 정비’의 핵심입니다.2. 모터 축 정렬 오차의 4가지 유형 – 그림 없이도 이해되게!모터 정렬 오차는 기본적으로 두 축의 중심선이 일치하지 않는 상태입니다.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① 평행(병진, Offset) 오차두 축이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지.. 2025. 7. 1.
RS-485 통신 오류 진단법 완전 정복 노이즈, 배선, 간섭 문제 해결 가이드산업 현장과 건물 자동화 시스템에서 RS-485 통신은 빠질 수 없는 핵심 프로토콜입니다.그러나 현장에서는 종종 "데이터가 안 온다", "장비가 인식되지 않는다", "간헐적 통신 오류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곤 합니다.이 글에서는 RS-485 통신 오류의 정확한 진단법과 실무자가 직접 해결할 수 있는 팁을 풍부하게 정리해드립니다.1. RS-485란? 기본 개념 정리RS-485는 전기적 특성(EIA-485)에 기반한 **차동 신호 방식(Differential Signaling)**을 사용하는 직렬 통신 방식입니다.전송 방식: 멀티드롭(Multi-Drop) 방식으로 최대 32개 노드 연결 가능거리: 최대 1200m까지 안정적 통신 가능 (속도에 따라 다름)속도: 96.. 2025. 6. 30.
산업용부터 캠핑카까지, VFD(인버터) 완벽 가이드: 선택부터 설치·운용 시 고려사항 총정리 1. 인버터(VFD)의 개요와 작동 원리**VFD (Variable Frequency Drive)**는 전동기의 속도와 토크를 조절하기 위해 전압과 주파수를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주로 교류 전원을 받아서 직류로 변환한 후, 다시 원하는 주파수로 조절된 교류로 바꾸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를 통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 향상과 기계 수명 연장에 크게 기여합니다.인버터와 컨버터의 차이점컨버터: AC(교류) → DC(직류)인버터: DC(직류) → AC(교류)2. 인버터의 기본 용도와 활용 분야산업용 인버터는 펌프, 송풍기, 컨베이어, 냉각탑 등 다양한 전동기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 캠핑용 인버터는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활용하여 220V 가정용 전원을 만들.. 2025. 6. 28.
정확한 벨트 드라이브 텐션 계산 방법 완전정복— 공식·실무 예제·측정·유지보수까지, 2025 최신 가이드— 핵심 키워드 한눈에 보기벨트 텐션 공식, 벨트 장력 계산, V-벨트 초기 장력, 타이밍 벨트 설계, 벨트 슬립 방지, 벨트 드라이브 효율, 벨트 장력 측정법, 벨트 유지보수, 벨트 장력 게이지, 벨트 주파수 방법1. 왜 ‘정확한 벨트 텐션’이 중요한가?현장에서는 **“벨트는 그냥 ‘적당히’ 당기면 된다”**는 오해가 여전히 많다. 그러나 장력이 과소하면 미끄럼·발열·마모가, 과대하면 베어링 과부하·풀리 축손상·벨트 파단이 뒤따른다.올바른 텐션은 ▲ 동력전달 효율 ▲ 기계 진동·소음 감소 ▲ 수명 연장 ▲ 에너지 비용 절감이라는 네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다.2. 벨트 드라이브의 기본 구조와 용어 정리 용어 .. 2025. 6. 27.
화재경보 연동장비 완벽 가이드 - P형 1급 수신기부터 제연·방화 시스템까지 머리말화재가 발생했을 때 **“경보만 울리고 끝”**이라면, 실제 인명·재산 피해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집니다. 경보와 동시에 방화셔터가 내려오고, 제연댐퍼가 열리며, 엘리베이터가 즉시 금지층으로 이동‧정지해야 진짜 ‘스마트’하고 ‘안전한’ 건축물입니다. 이러한 자동 대응을 가능케 하는 핵심이 화재경보 연동장비입니다. 본 글은 국내 최신 화재안전기준(NFSC)과 「소방시설 설치·관리법」을 기반으로, 설계부터 시공·유지관리·시험운전까지 A-Z를 1만자 이상 분량으로 정리한 실무 지침서입니다.1. 용어·분류 총정리연동장비 정의화재 수신기가 감지 신호를 받아 다른 설비나 장치에 작동(출력) 명령을 내려주는 모든 하드웨어·소프트웨어중심 제어 장치P형 수신기1급: 다회선 출력, 제연·방화·비상방송 등 다중 연동 가.. 2025. 6. 26.
인터록 회로 설계 A-to-Z: 초보도 이해하는 원리부터 실무 전문가 노하우까지 1. 인터록(Interlock)이란 무엇인가?1-1. 정의와 목적정의: 기계·설비가 잘못된 순서로 동작하거나 위험 상태에서 작동하지 못하도록 ‘상호 잠금’(lock-out)하는 안전 회로/기능.주요 목적사고 예방: 예기치 않은 기동, 과열, 과부하, 압력 상승, 누전 등으로부터 작업자·설비 보호.프로세스 보호: 공정 순서를 강제해 품질 저하, 장비 손상을 방지.규제 준수: 산업안전보건법, 기계류 안전 기준(ISO 13849-1, IEC 60204-1, NFPA 79 등) 충족.1-2. 인터록 종류기계식(MI): 키 스위치, 볼트, 캡티브 키 시스템.전기식(EI): 릴레이·접촉기 기반 하드와이어드 회로.전자식(SI): 안전 PLC, 안전 릴레이 모듈, 필드버스-기반 네트워크(Profisafe, CIP Sa.. 2025. 6.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