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한 기계 가공과 부품 제작에서 ‘측정’은 단순한 확인이 아니라 품질 보증의 핵심입니다. 그러나 측정기기를 제대로 다루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선 올바른 사용법과 교정 주기, 인증 절차까지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6가지 측정기기에 대해 실용적으로 정리해봤습니다.
1. 버니어캘리퍼스 (Vernier Caliper)
✔ 측정 원리와 사용 방법
버니어캘리퍼스는 외경, 내경, 깊이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기능 측정기입니다. 메인스케일과 버니어 스케일을 정렬시켜 정밀 측정을 수행하며, 일반적으로 0.05mm 단위까지 측정이 가능합니다.
정확도를 위해 항상 제로 세팅을 먼저 하고, 측정 시에는 측정 대상에 평행하게 접촉하도록 해야 합니다.
✔ 교정 주기 및 공인성적서
- 켈리브레이션 주기: 6개월 ~ 1년 주기 권장
- 공인성적서 유효기간: 보통 1년 (기관에 따라 6개월로 요구하기도 함)
- 발행 가능 기관: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KTC), 한국계량측정협회(KMTA)
✔ 실무 팁
- 디지털 캘리퍼스는 간편하지만, 배터리 부족 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 점검 필수
- 메탈 캘리퍼스는 이물질, 온도 변화에 민감하므로 사용 전후 닦아주는 습관이 중요
2. 마이크로미터 (Micrometer)
✔ 측정 원리와 사용 방법
마이크로미터는 측정면 사이에 부품을 끼우고 스핀들(측정면)을 조절해 길이를 측정합니다. 0.01mm 단위로 정밀 측정이 가능하며, 외측용/내측용/깊이용으로 구분됩니다.
래칫 스톱 기능을 이용해 동일한 압력으로 측정해야 반복성이 확보됩니다.
✔ 교정 주기 및 공인성적서
- 켈리브레이션 주기: 6개월~1년
- 성적서 갱신 주기: 통상 1년
- 공인 교정기관: 한국계량측정협회, KTC, KTL, 이노비즈, 중소기업 품질인증센터 등
✔ 실무 팁
- 측정 전 제로 조정은 기본, 미세한 온도 변화도 영향을 줄 수 있으니 손의 체온을 최소화할 것
- 측정물이 둥근 경우, 2~3회 다른 방향에서 평균 측정값을 사용하는 것이 정확도 확보에 유리
3. 게이지블럭 (Gauge Block)
✔ 측정 원리와 사용 방법
게이지블럭은 기준 길이 측정용 표준기기입니다. 다양한 길이의 블럭을 웜블링(Wringing, 정밀한 밀착) 방식으로 붙여 원하는 길이를 구성합니다. 주로 캘리퍼스나 마이크로미터 등의 교정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 교정 주기 및 공인성적서
- 켈리브레이션 주기: 1년 (표준 유지 장비이므로 자주 사용하지 않으면 2년까지도 가능)
- 공인성적서 유효기간: 일반적으로 1년
- 교정기관: KRISS, 한국표준협회,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등
✔ 실무 팁
- 손으로 직접 만지지 말고 집게를 사용, 체온에 의해 길이가 미세하게 늘어날 수 있음
- 사용 후엔 기름칠하여 보관, 습기와 녹에 민감하므로 보관함에 넣어둘 것
4. 하이트게이지 (Height Gauge)
✔ 측정 원리와 사용 방법
하이트게이지는 높이, 수직 거리, 홀의 위치 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그라나이트 평판과 함께 사용합니다. 버니어 타입, 다이얼 타입, 디지털 타입으로 구분되며, 테스트핀이나 스크라이버를 장착해 다양한 측정이 가능합니다.
✔ 교정 주기 및 공인성적서
- 켈리브레이션 주기: 6개월 ~ 1년
- 공인성적서 유효기간: 1년
- 공인 기관: KTC,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측정시험원, 중소기업진흥공단
✔ 실무 팁
- 측정 전에 반드시 그라나이트 평판의 이물질 제거, 평면이 완전히 수평인지 확인
- 스크라이버 끝이 닳거나 휘어진 경우, 정밀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음
5. 다이얼게이지 (Dial Gauge)
✔ 측정 원리와 사용 방법
다이얼게이지는 축의 이동량을 눈금으로 표시하는 측정기로, 흔히 원형도, 평행도, 진직도 등 정렬 상태를 확인할 때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측정 단위는 0.01mm, 고정밀 제품은 0.001mm입니다.
측정물에 직각으로 접촉하여 오차를 최소화해야 하며, 자석식 베이스와 함께 사용하면 고정이 쉬워집니다.
✔ 교정 주기 및 공인성적서
- 켈리브레이션 주기: 6개월 권장
- 공인성적서 유효기간: 6개월 ~ 1년
- 공인 기관: KOLAS 인증기관, TUV SUD Korea, 한국기계전기전자시험연구원 등
✔ 실무 팁
- 0점 세팅 시 기준 블럭 또는 평면을 활용
- 반복 측정 시 다이얼이 튀거나 멈춘다면 내부 기어 이상, 수리 또는 교체 필요
6. 인디게이터 (Test Indicator)
✔ 측정 원리와 사용 방법
인디게이터는 접촉식 센서가 수평/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며 미세한 변위를 측정합니다. 다이얼게이지와 유사하지만, 보다 정밀하고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공작기계의 수직도 확인, 센터 정렬, 진원도 측정 등에 자주 사용됩니다.
✔ 교정 주기 및 공인성적서
- 켈리브레이션 주기: 6개월 ~ 1년
- 공인성적서 유효기간: 1년
- 공인 기관: 대부분 다이얼게이지와 동일하며, 정밀 기기 전문 교정업체에서도 발급 가능
✔ 실무 팁
- 정렬작업 시 센터 위치가 정확해야 오차 없음, 한 쪽으로 기울면 큰 측정 오차 발생
- 측정봉이 휘어져 있으면 모든 데이터가 무용지물, 반드시 직선 상태 확인
마무리 정리표
버니어캘리퍼스 | 0.05mm | 6개월~1년 | 1년 | KRISS, KTC 등 |
마이크로미터 | 0.01mm | 6개월~1년 | 1년 | KMTA, KTL 등 |
게이지블럭 | 0.001mm | 1년 | 1년 | KRISS, KTL 등 |
하이트게이지 | 0.01mm | 6개월~1년 | 1년 | KTC, 중소기업진흥공단 등 |
다이얼게이지 | 0.01mm | 6개월 | 6개월~1년 | KOLAS, TUV 등 |
인디게이터 | 0.001mm | 6개월~1년 | 1년 | KTC, 민간 전문 교정기관 등 |
결론
정밀 측정기기는 단순히 숫자를 읽는 도구가 아닙니다.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제품의 품질과 공정의 신뢰도 자체가 달라집니다. 올바른 사용법은 물론, 정기적인 교정과 공인성적서 관리까지 꼼꼼히 챙긴다면 실무 현장에서 한층 더 전문적인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습니다.
측정은 결국 습관의 정밀도입니다.
'전문지식-기계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미트 스위치, 근접 스위치, 오뚜기 수위계 — 기계 자동화 검출 시스템의 모든 것 (0) | 2025.04.13 |
---|---|
슬러지 수집기 완전 정복: 실무자들이 꼭 알아야 할 고급 기술, 선택 전략 및 운영 최적화 (0) | 2025.04.12 |
볼트와 너트, 어떻게 선택하고 설계해야 할까? (0) | 2025.04.11 |
베어링, 단순한 부품 그 이상의 핵심 – 기계 설계를 결정짓는 정밀 부품의 이해 (0) | 2025.04.10 |
꼭 알아야 할 대표적인 수공구 10가지 – 기계 전문가가 알려주는 실전 중심 설명 (0) | 2025.04.08 |
HMI와 SCADA 시스템의 차이와 구축 사례 (0) | 2025.04.06 |
기계 도면 해독법과 실무 적용 사례 (0) | 2025.04.05 |
인버터를 이용한 전동기 제어 기법 (0) | 2025.04.04 |